2025 베드로후서




■ 베드로후서

  1. 책 제목

본서의 헬라어 명칭은 [(Πέτρον Β) 페트루 베타]인데, 본서 1:1과 3: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발신자인 베드로의 이름과 두 번째라는 의미를 따라 붙여진 것으로 ‘베드로의 두 번째(편지)’라는 뜻이다. 한글 성경 ‘베드로후서’란 제목도 여기서 유래되었다.

 

 

  1. 기록자와 연대

1) 기록자/수신자

① 기록자 : 베드로(1:1)

본서에서 베드로가 직접 편지를 쓰고 있음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1:1). 한편 기록자는 자신을 가리키는 구절들에서 1인칭 단순명사를 사용하고 있으며 자신이 예수님의 변화 산상의 목격자임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1:16-18/마 17:1-5). 또한 기록자는, 독자들에게 본서가 두 번째 편지임을 말하고 있으며(3:1), 바울을 ‘사랑하는 형제’(3:15)라고 언급하고 있다.

 

② 수신자 : 믿음을 우리와 함께 받은 자들(1:1b)

베드로는 서두에 우리 하나님과 구주 예수 그리스도의 의를 힘입어 동일하게 보배로운 믿음을 우리와 함께 받은 자들(1:1b)에게 편지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2) 기록 연대 : A.D. 65-68년경

만일 본 서가 베드로가 쓴 것이라면 전서의 집필 시기인 주후 63~64년에서 순교한 주후 68년경 사이일 것이다. 벧후 1:13에 자신의 죽음이 가까워 옴을 암시한 듯한 내용으로 볼 때 본 서는 순교 직전인 65~68년 사이에 기록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그 장소도 마지막 활동 무대였던 로마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1. 기록 배경과 목적

1) 배경

베드로는 순교하기 바로 전에 본 서신을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1:13). 당시 초대교회 내에는 많은 이단자들이 발생하여 성도들을 교리적 오류와 도덕적 방종으로 몰고 갔으며 교회를 분열의 위기까지 몰고 갔었다. 이에 성도들이 복음을 완전히 깨달을 때에만이 거짓 교사들의 가르침을 극복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달은 베드로는 성도들에게 단순히 그리스도를 믿는데서만 그칠 것이 아니라 장성한 분량에까지 성장할 것(3:18)을 촉구하고자 본서를 기록하였다.

 

① 좋은 상황 : 이미 있는 진리와 동일한 믿음에 굳세게 있음

② 나쁜 상황 : 미혹자들의 등장

  • 미혹자들의 명칭 : 거짓 선생들, 기롱자들, 저주의 자식들, 무법한 자들, 물 없는 샘이며 광풍의 안개
  • 미혹자들의 주장 : 멸망의 이단을 가만히 끌어들인다. (사신 주님을 부인, 주의 강림을 부인)
  • 미혹자들의 방식 : 공교히 만든 신화와 지은 말로 성도들을 미혹사며 허탄한 자랑의 말을 토함
  • 미혹자들의 실제적 모습 : 낮에 연락을 기쁘게 여긴다. 속임수로 연회한다. 음식이 가득한 눈으로 범죄를 쉬지 않는다. 굳세지 못한 영혼들을 유혹한다. 탐심을 가지고 성도를 이익으로 삼는다.
  • 미혹자들의 결과 : 그들로 말미암아 사람들이 방탕을 좋고, 진리의 도가 훼방 받으며, 음란으로 유혹된다. 결국 그들은 멸망할 것이며 캄캄한 어둠이 준비 되어 있다.

 

2) 기록 목적

기록자는 3:1-2에서 본서의 기록 목적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즉 저자는 그리스도의 재림에 대해 비웃거나 조롱을 일삼는 자들이 나타나서 성도들을 미혹하기 때문에 그들에게 선지자들이 예언한 말씀과 사도들의 가르침을 기억하게 하여 재림에 대한 확신을 심어 주기 위해 이 글을 기록한 것이다. 한편 본서는 재림에 대한 그릇된 견해를 시정하기 위한 목적 외에도 이단자들에게 미혹되지 말 것을 권면함과 동시에 그들에 대한 심판을 예고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기록하였다(2:1-22).

 

 

  1. 특징과 교훈

1) 특징

① 거짓 교사의 문제와 종말에 대한 확실성 강조

베드로는 앞 서신에서 외부적인 핍박과 시련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데 비해 본서에서는 교회내에서 거짓 교사들로 말미암아 발생하는 문제에 초점을 두고 있다. 특히 본서는 종말에 대한 확실성에 대해 지적하고 있는데 주의 재림으로 임하게 되는 종말이 지연되고는 있지만 언젠가는 확실하게 이 역사의 지평선 위에 임하고야 말 것이며 그때에는 조소하던 모든 사람들이 심판을 당하고야 말 것이다.

② 바른 지식(신앙의 참지식, 참지혜)과 그것에 대한 삶의 강조

본서는 ‘신앙적인 참지식’이라는 주제를 담고 있다. ‘앎, 지식(Know, Knowledge)이라는 말이 16회나 반복된다. 끝말도 “오직 우리 주 곧 구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와 저를 아는 지식에서 자라”(3:18)고 했다. 이는 당시 특별한 영적 지식과 지혜로 구원에 이를 수 있다고 미혹하는 영지주의를 염두에 두었기 때문이다. 그 다음으로는 예수 그리스도를 닮는 생활을 강조했다(1:5-7). 영지주의에 미혹된 자들이 극단적으로 무도덕한 생활을 했기에 그리스도를 닮아 거룩한 생활을 하는 것이 참지식과 지혜임을 교훈한 것이다. 그리고 그와 같은 생활은 종말에 필히 시행될 하나님의 대심판을 염두에 두고 행해야 함을 강조한다.

③ 유다서와 유사한 부분들이 많이 등장함

베드로후서의 유다서와 유사한 부분들이 많이 등장하는데 모든 거짓교사들을 지적하는 데 치중하며 표현도 비슷하다.

 

2) 교훈(주제)

본서는 베드로전서에 이어 소아시아에 흩어져 있던 교회들에 보내는 사도 베드로의 두 번째 서신이다. 베드로전서가 주로 당시 지중해 지역의 패자였던 로마 제국의 정치 세력에서 비롯되는 외적으로 임하는 고난에 대한 위로와 격려의 내용을 다루고 있는 반면에, 본서는 이보다 더욱 심각한 사단의 궤계에서 비롯되는 교회나 성도들 내부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즉, 본서에서 나타나는 주요 핵심은 배교와 교회 분열의 위기마저 초래하고 있는 진노의 자녀인 거짓 교사들에 대한 엄중한 경계와 경고이다. 한마디로 본서는 “교회 안의 독소”에 대해 다루고 있다. 핍박과 거짓 가르침으로 인해 약해진 신앙을 바로 잡기 위해서는 그리스도의 재림의 확실성과 이에 대한 소망의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재림에 대비하여 그리스도 안에서 미혹됨이 없이 굳건하게 살아가야 한다.

 

 

  1. 주요 내용

1) 도입(1:1-2)

 

2) 하나님의 성품에 참여한 자로서의 삶(1:3-11)

① 전제 : 그의 신기한 능력으로 생명과 경건에 속한 모든 것을 우리에게 주셨음(3-4)

② 권면 : 더욱 힘쓸 것들

  • 너희 믿음에 덕을, 덕에 지식을, 지식에 절제를, 절제에 인내를, 인내에 경건을, 경건에 형제 우애를, 형제 우애에 사랑을 더하라(1:5-7)
  • 너희 부르심과 택하심을 굳게 하라 → 영원한 나라에 들어감을 넉넉히 너희에게 주시리라(1:10-11)

 

3) 자서전적 설명(1:12-21)

① 임박한 종말을 느끼며 유언적 교훈을 남김(1:12-15) : 내가 이 장막에 있을 동안에 너희를 일깨워 생각나게 함이 옳은 줄로 여기노니… 내가 떠난 후에라도 어느 때나 이런 것을 생각나게 하려 하노라(1:15)

② 변화산 체험을 고백함(1:16-18) : … 지극히 큰 영광중에서 이러한 소리가 그에게 나기를 이는 내 사랑하는 아들이요 내 기뻐하는 자라 하실 때에 그가 하나님 아버지께 존귀와 영광을 받으셨느니라(1:17)

③ 확실한 예언(1:19-21) : 우리에게는 더 확실한 예언이 있어 어두운 데를 비추는 등불과 같으니 … 성경의 모든 예언은 사사로이 풀 것이 아니니 예언은 언제든지 성령의 감동하심을 받은 사람들이 하나님께 받아 말한 것임이라(1:20-21)

 

4) 거짓 선지자들에 관하여(2:1-22)

① 거짓 선생들의 등장 : 너희 중에 거짓 선생들이 있으리라(2:1)

② 거짓 선생들의 모습과 결국(2:1b-3) :

- 이단을 가만히 끓어들여 자기들을 사신 주를 부인함(2:1b)

- 여럿이 그들의 호색하는 것을 따르리니 이로 말미암아 진리의 도가 비방을 받을 것이요(2:2)

- 그들이 탐심으로써 지어낸 말을 가지고 너희로 이득을 삼으니 … (2:3)

③ 거짓 선지자들이 심판 받았던 예들(2:4-22)

- 노아의 홍수 / 소돔과 고모라/ 발람의 예

 

5) 그리스도의 강림에 대한 변호(3:1-18a)

① 편지의 목적(3:1-2) : 너희의 진실한 마음을 일깨워 생각나게 하여 곧 거룩한 선지자들이 예언한 말씀과 주 되신 구주께서 너희의 사도들로 말미암아 명하신 것을 기억하게 하려 하노라

② 조롱하는 자들의 주장(3:3-7) : … 자기의 정욕을 따라 행하며 조롱하여 주께서 강림하신다는 약속이 어디 있느냐 … (3:3-4)

③ 종말의 현상 : 주의 날이 도둑 같이 오리니 그 날에는 하늘이 큰 소리로 떠나가고 물질이 뜨거운 불에 풀어지고 … (3:10)

④ 성도의 자세(3:14-18a) :

- 주 앞에서 점도 없고 흠도 없이 평강 가운데서 나타나기를 힘쓰라(3:14)

- 우리 주의 오래 참으심이 구원이 될 줄로 여기라(3:15a)

- 무법한 자들의 미혹에 이끌려 너희가 굳센 데서 떨어질까 삼가라(3:17)

-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와 그를 아는 지식에서 자라가라(3:18a)

 

6) 종결(3:18b)

 

 

  1. 구조

1) 도입(1:1-2)

2) 하나님의 성품에 참여한 자로서의 삶(1:3-11)

3) 자서전적 설명(1:12-21)

4) 거짓 선지자들에 관하여(2:1-22)

5) 그리스도의 강림에 대한 변호(3:1-18a)

6) 종결(3:18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