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빌레몬서



윤효배 목사

■ 빌레몬서

  1. 책 제목

본서의 명칭은 수신자인 빌레몬의 이름을 따라 붙여진 것으로 헬라어 표제는 [프로스 필레모나]이며 '빌레몬에게'라는 뜻이다.

 

 

  1. 기록자와 연대

1) 기록자/수신자

① 기록자 : 바울(디모데가 동참, 1:1)

본서의 기록자에 관해서는 1:1에서 바울이라고 확실히 증거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바울의 저작설은 4세기까지 전혀 의심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에 이르러 교리적인 내용이 없다는 이유만으로 바울의 저작설을 의심하는 자들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전통적인 전승이나 본서 자체의 증거로 미루어 볼때 바울의 저작설에 대해서는 하등 문제가 되지 않는다.

 

② 수신자 : 빌레몬(1:1-2, 자매 압비아, 아킵보, 네 집에 있는 교회)

*빌레몬에 대하여

바울은 빌레몬에 대하여 표현할 때 바울과 디모데의 사랑을 받는 자이며 동역자로 소개한다(1). 또한 바울은 항상 내 하나님께 감사하고 기도할 때 빌레몬을 말할 정도로 관심이 있음을 표현한다(4). 아울러 빌레몬은 주 예수와 및 모든 성도에 대한 사랑과 믿음이 있음을 확신한다(5). 그리고 빌레몬의 헌신과 사역으로 말미암아 여러 성도들의 마음이 평안을 얻을 정도로 맡겨진 일들에 대한 일 뿐만 아니라 성도들에게 신임을 얻고 있다(7).

 

*골로새 교회와 빌레몬과의 관계

바울은 골로새서에서 마지막 부분에서 오네시모를 두기고와 함께 보내 여기 일을 너희에게 다 알려줄 것이라고 하고 있는데(골 4:9), 빌레몬서에서도 마찬가지로 갇힌 주에서 낳은 아들인 오네시모를 빌레몬에게 돌려보낸다라는 언급을 하고 있다(10-12). 따라서 빌레몬은 골로새 지역에 살고 있는 교회 성도로 추정해 볼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추론에 의해서 인사말에서 표현된 자매 압비아와 우리와 함께 병사된 아킵보는 빌레몬의 아내와 아들로 생각되며(2), 아킵보는 주 안에서 직분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골 4:17).

2) 기록연대/ 배경

① 기록연대

본문에 의하면 본 서는 바울이 그리스도를 위하여 갇힌 자 되어라고 분명히 밝히고 있다(몬 1:9, 10), 이때는 바울이 다른 옥중서신(에베소서, 빌립보서, 고로새서)를 썼던 1차 옥중 생활에 해당되는 때로 비교적 자유로운 연금 상태에 있었다. 그래서 그는 많은 사람을 만날 수 있었는데 이때 오네시모를 만나 그를 회심시켰던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그를 위해 본 서신을 써 두기고를 통해 빌레몬에게 보냈던 것이다. 그런데 바울이 로마의 감옥에 갇혔을 때는 그가 3차 전도 여행을 마치고 예루살렘에 있을 때인 주후 58년이었다(행 19:21; 21:17). 그리고 가이샤로 호송되어 약 2년을 보냈다(행 24:27). 이때에 바울은 자신의 무죄를 증명하기 위하여 가이사의 재판을 호소하였고 따라서 다시 로마로 호송되어 감옥에 갇히게 되었는데 이때가 주후 61년경이었다. 그러므로 본 서를 위시한 옥중 서신들은 주후 62년 경에 기록되었을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② 기록 배경

본서는 당시 사회의 가장 미천한 계급인 노예를 사랑하고 형제로 받아들인다는 기독교인의 가장 실천적 사랑을 증거해 보여주는 것으로 본문의 오네시모라는 한 노예는 주인 빌레몬에게 어떤 잘못을 저지르고 도망쳤던 것 같다. 당시 로마는 로마제국의 수도였으므로 많은 사람들이 살았고 오네시모는 이 가운데 사는 것이 안전하다고 생각한 것 같다. 바로 이 같은 상황에서 오네시모는 바울을 만나게 되었고 복음을 전해 받게 되었고, 회심하여 사도 바울의 심복이 되었다.

 

 

  1. 특징

본서 전체는 오네시모의 입장을 변호하고 받아들여 주도록 요구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같은 내용은 사도 바울의 개인적인 인격과 성품, 태도 등을 잘 반영해 준다. 특히 ‘간구하다’는 표현을 통해 바울의 사랑과 겸손이 어느 정도였는가를 생각하게 한다. 한편 본서가 순수한 개인적인 서신의 형태를 지녔기 때문에 성경이 될 가치가 있겠느냐는 문제를 제기하는 사람이 있으나 본서의 가치는 바울이 이제껏 외치던 자신의 신학에 부합되는 생활윤리를 몸소 실천했다는 데서 찾아볼 수 있다.

 

 

  1. 목적

골로새 지방의 부유한 신자 빌레몬은 도망간 종 오네시모에게 불의한 행동으로 큰 손해를 끼친 것으로 추정된다(10, 11, 16, 18). 오네시모는 빌레몬을 피해 로마로 도망갔으나 그곳에서 바울에 의하여 새사람이 되었고, 옛날의 죄악된 행동과는 달리 바울을 수종들며 복음의 사역을 하는 하나님의 일군이 되었다. 바울은 이와 같이 새사람이 된 오네시모를 빌레몬에게 보내면서 그를 중재하기 위하여 본서를 기록한 것이다(12, 15, 16). 또한 본 서신은 진실한 그리스도인의 재산취득과 예절에 관한 이상적인 모본을 보여주고 있다.

 

 

  1. 주제와 교훈

본서는 바울의 개인적인 성격이 크게 드러난 것으로서 외형적으로는 빌레몬이라는 한 개인에게 오네시모라는 한 개인을 용납할 것을 부탁하는 내용으로 “빌레몬에 대한 칭찬”(1~7절), “오네시모를 위한 간구”(8~16절), “사도 바울의 약속”(17~25절)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오네시모는 빌레몬의 종이었는데 주인의 재산을 훔쳐 달아났다가 바울을 만나 복음을 듣고 기독교인이 되었다. 그러나 그 당시 로마법에 의하면 도망친 노예는 사형 선고를 받게 되어 있었다. 이에 바울은 본 서신을 통하여 빌레몬에게 같은 그리스도인인 형제에 대한 사랑과 용서를 베풀어 줄 것을 간절히 권고하고 있다. 이러한 본서는 모든 고용자와 피고용자간에 상호 적용할 수 있는 지침이 되며, 더불어 더 크게는 죄로 죽었던 우리를 그 죄의 형벌 가운데에서 용서하신 그리스도의 사랑을 느끼게 한다. 따라서 본서는 한 개인에게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모든 그리스도인에게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그리스도 안에서 한 형제된 성도들간에 나누어야 할 깊은 사랑에 대해 교훈한 것이다.

 

 

  1. 주요 내용

1) 오네시모에 대한 설명

(1) 과거

① 빌레몬의 종의 신분이었음(16a).

- 경제적인 이유로 말미암아 빌레몬의 종이 되었을 것으로 추측(18-19)

② 빌레몬은 오네시모를 도움이 되지 않는 자로 여김(11)

- 빌레몬은 종 오네시모에게 여러 가지 일을 시켰으나 노예의 일을 해보지 않았던 오네시모는 빌레몬의 기대를 만족시키지 못하였던 것으로 추측.

③ 빌레몬은 심지어 손해를 끼치는 자로 간주함(18)

- 이 때문에 오네시모는 빌레몬에게서 심한 무시와 멸시를 받았을 것이고, 결국은 빌레몬에게서 도망을 감.

 

(2) 현재

① 감옥에서 사도 바울을 만났고 바울은 오네시모에게 복음을 전했음(10)

② 복음으로 말미암아 오네시모는 변화되었고, 바울은 그를 특별하게 생각함

- 사도 바울은 오네시모가 “종 이상”(16)의 성품과 능력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알아차렸고, 그를 심복으로 여김(12)

③ 자신에게 머물러 있게 하여 빌레몬 대신 자신을 섬기도록 하고 싶으나, 빌레몬이 (자원하는 마음으로) 승낙하지 않으면 그렇게 하지 않으려고 함(13, 14).

④ 그를 빌레몬에게 다시 돌려보냄(12a).

  1. cf) 골로새서에서 : 바울은 골로새 교회에 자신의 사정을 알리기 위하여 두기고를 보낼 때에 오네시모를 동행시킬 정도로 동행자 및 동역자의 역할을 감당할 수 있을 정도였으며(골 4:9), 두기고는 바울의 개인적 사정(“나의 사정”)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 반면에(골 4:7), 오네시모는 바울의 주변적인 사정(“여기의 일”)을 보고하는 역할을 함(골 4:9)

 

2) 바울의 빌레몬에 대한 권면(부탁)

① 오네시모가 빌레몬을 잠시 떠나게 되었지만 그것은 그와 영원한 관계를 갖게 하기 위한 하나님의 섭리로 생각함(15)

② 이후로는 종과 같이 대하지 말고, 사랑받는 형제로 대하라(16)

③ 네가 나를 동역자로 알듯이 오네시모를 영접하기를 나를 영접하듯 하라(17)

④ 오네시모가 네게 불의를 하였거나 빚진 것이 있으면 내 앞으로 계산하라 내가 확실히 갚을 것임(18)- 네가 내게 빚진 것은 내가 말하지 아니하노라

⑤ 나로 주 안에서 너로 말미암아 기쁨을 얻게 하고 … 평안하게 하라(20)

⑥ 부탁에 대한 순종(21)

⑦ 너는 나를 위하여 숙소를 마련하라, 너희 기도로 내가 너희에게 나아갈 수 있기를 바라노라(22)

 

 

  1. 구조

본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내용상으로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면 빌레몬에 대한 칭찬과(1-7절), 오네시모를 위한 부탁(8-16절), 그리고 빌레몬에 대한 약속(17-25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조금 더 구체적으로 구분을 하면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1) 인사(1-3)

2) 빌레몬에 대한 칭찬(4-7)

3) 오네시모를 위한 간구(8-16)

4) 사도 바울의 약속(17-20)

5) 사도 바울의 확신과 요청(21-22)

6) 끝인사(2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