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고린도후서




4) 거짓 선생들의 비방에 대한 변호와 주장(10-12장)

바울은 자신의 외적 모습(약하고 말도 시원하지 않음)에 대한 지적하는 것에(10:10-11) 대해 외모만 보는 어리석음에 대하여 책망하고, 자기를 칭찬하는 자와 짝하며 비교할 수 없으며, 자랑하는 자는 주 안에서 자랑해야 하고(10:12, 17), 자신이 비록 말에는 부족하나 지식에는 그렇지 않을 뿐만 아니라(11:16). 바울은 교회를 위한 사랑과 염려, 자신의 약한 것을 자랑한다(11:23-30). 아울러 바울은 자신이 지극히 큰 환상과 계시를 보았음에도 자만하지 않게 하시려고, 사탄의 사자를 주셔서 교만하지 않고, 자신의 약함을 고백하며 주님을 의지할 수 있도록 하셨음을 말하면서 자신의 능력은 약한 데서 온전하여 진다는 것을 강조한다(12:7-10). 그리고 수많은 핍박과 고난을 견디며 표적과 기사와 능력을 행한 것이 진정한 사도라는 것을 증거한다고 강하게 주장한다(12:11-13).

 

5) 고린도 교회 방문계획을 말함(12-13장)

바울은 세 번째 고린도 교회에 가기를 준비하고 있는데 그것은 단순히 재물 때문이 아니라 오직 고린도 교회 성도들 때문인 것임을 강조하면서(12:14-21), 이번에는 약속이 변경되지 않도록 확실하게 갈 수 있도록 두세 증인의 입으로 확정할 뿐만 아니라(13:1), 이번에 가게 되면 전에 죄 지은 자들을 용서하지 아니할 것이며(13:2), 너희가 믿음 안에 있는가 확증하며, 너희가 악이 아니라 선을 행하고, 온전하게 되기를 간절히 바란다는 것을 밝힌다(13:5-10).

 

 

  1. 특징

1) 솔직하고 자서전적 서신

고린도전서가 교회 내의 문제에 대하여 필요한 내용들을 순차적으로 대답함에 비해, 고린도후서는 바울 스스로가 포착한 문제들에 대해 공격적 어조로 변호하며 사실을 밝히고 있다. 그러한 가운데 바울의 심정 깊이에서 우러나오는 고백, 극과 극의 감정, 즉 자랑과 약함, 감사와 노여움, 엄격과 부드러움이 교차적으로 나타나 인간 바울의 풍부한 감정을 잘 보여준다. 그러나 여기에는 변덕스런 고린도 교인들을 향한 바울의 위대한 목자의 사랑이 잘 나타나 있다.

2) 복잡한 구조 속에 드러나는 복음의 진수

고린도후서는 고린도전서에 비해 구조가 복잡하다. 여러 학자들은 고린도전서에서 후서로 들어설 때는 마치 정연한 공원길에서 길도 없는 숲을 헤치며 들어가는 느낌이라고 말한다. (어떤 이들은 신약 성경 가운데 고린도후서만큼이나 번역자들과 해석자들을 난관에 빠지게 하는 것도 없다고 할만큼 복잡하고 난해하다.) 그러나 이 편지에서 자기의 사적인 이야기나 자신의 사도권을 두서 없이 변호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자신은 새 언약의 일꾼임을 밝히면서 돌판에 새겨진 외적인 율법이 아니라 마음에 새겨진 하나님의 법에 따라 성령님의 인도하심에 따라 행해야 하고, 외적인 것이 아니라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하여 관심을 가져 새 언약인 복음의 가르침에 더욱 집중해야 함을 강조한다.

 

3) 다양한 비유를 통한 성도의 정체성에 대한 강조

본서에는 고린도전서의 부활장(15장)과 같은 독특한 신학사상을 강조한 내용은 두드러지지 않지만 다양한 비유들을 통하여 자신과 성도의 정체성에 대하여 표현해주고 있다. 예를 들어 그리스도의 향기(2:14-17), 그리스도의 편지(3:3), 보배를 담은 질그릇(4:7), 새로운 피조물(5:17-19), 그리스도의 사신(5:20), 하나님의 성전(6:14-18) 등의 표현 등 성도가 어떠한 모습이어야 하는지에 대하여 이해를 잘 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1. 구조

1) 인사말(1:1-11)

 

2) 사도권에 대한 소극적 해명(1:12-7:16)

① 해명을 시작하는 말(1:12-14)

② 고린도 방문 계획의 변경에 대한 해명(1:15-2:13)

③ 사도직의 확실성과 그에 대한 바른 자세의 해명(2:14-5:10)

④ 화목케 하는 자로서의 사도의 직무(5:11-7:16)

 

3) 예루살렘 교회를 위한 구제 연보(8:1-9:15)

① 마게도냐 교회의 구제 연보의 모범(8:1-5)

② 구제 연보의 권면(8:6-15)

③ 구제 연보를 위한 위원 파견(8:16-9:5)

 

4) 사도권에 대한 적극적 주장(10:1-13:10)

① 사도권에 근거한 권징의 의지(10:1-11)

② 사도권을 입증하는 구체적 증거들(10:12-12:10)

③ 사도권 주장에 대한 최종 변론(12:11-13)

④ 세 번째 고린도 방문 계획 예고와 결론(12:14-13:10)

 

5) 끝인사(13: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