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사도행전



윤효배 목사

■ 사도행전

  1. 책 제목

헬라어로 ‘프락세이스 아포스톨론’, 즉 ‘사도들의 행적’이란 뜻이며, 우리말 성경도 본서의 표제를 따라 ‘사도행전’이라고 명명했다.

 

 

  1. 기록자와 연대

1) 기록자

수신자(데오빌로)가 누가복음과 같으며 본서에도 먼저 누가복음을 기록했다는 표현이 나온다(1:1). 선교여행에 동참을 하지 않았다면 절대로 이처럼 상세하게 기록할 수 없으므로 동참했던 인물로 보인다.

본서의 ‘우리’란 표현이 바울의 2차 선교여행 때부터 로마 감옥행까지 줄곧 바울과 동행한 누가를 가리킨다고 볼 수 있다(골 4:14; 딤후 4:11; 몬 1:24).

​초대교부들 모두가 누가의 기록으로 증언하고 있으며 바울과 동행하며 선교 여행한 경험들을 토대로 본서를 기술했을 것으로 본다.

 

의사로서의 누가 : 누가가 의사였다는 것은 사도 바울이 골로새 성도들에게 문안하는 편지에서 ‘사랑을 받는 의원 누가’라고 표현한 것에서 알 수 있으며(골 4:14),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에 나타난 의학 용어들을 살펴볼 때 그의 직업을 짐작할 수 있다(눅 4:48; 8:55; 행 28:8-9 등). 또한 바울의 편지들을 볼 때 누가가 골로새 교회와 안면이 있었고, 빌레몬이나 디모데와도 친분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딤후 4:11).

누가는 바울이 두 번에 걸쳐 로마 감옥에 투옥되었을 때도 빠짐없이 동행했는데(딤후 4:11),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할 점은 누가가 사도 바울에게 ‘사랑을 받는 의사’였다는 것이다(골 4:14).

 

2) 기록연대/장소

(1) 기록연대

사도행전의 기록 시기는 일반적으로 예루살렘이 함락되기 이전, 바울이 순교하기 이전인 A.D. 60-63년 사이로 본다. 그 이유는 A.D. 70년에 일어난 예루살렘 함락 사건이 기록되지 않았다는 점과 A.D. 64년에 있었던 네로의 박해 사실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바울의 로마 도착과 2년간의 옥중 생활로 본서가 끝났을 뿐 바울의 순교 사건이 기록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전승에 의하면 바울은 A.D. 66-68년 사이에 순교했다고 한다.

어떤 학자들은 사도행전의 저작 시기를 예루살렘 함락(70년) 이후라고 주장한다. 누가복음 19:43-44; 21:20-24 등의 기사가 예루살렘 함락 이후에 쓴 것이라고 보고 누가복음 이후에 쓰인 사도행전은 그보다 더 뒤에 기록되었다고 보는 것이다.

 

(2) 기록 장소

사도행전을 기록한 장소는 로마로 보는 견해가 유력하다. 사도행전이 로마에 도착한 것으로 끝나고 있다는 것과 바울이 로마에 도착한 지 오래지 않아 본서를 기록했을 것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기록 장소를 안디옥, 가이사랴, 에베소, 고린도, 알렉산드리아 등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그러나 바울이 로마 감옥에서 석방되기 직전이나 석방된 이후에 로마에서 썼을 것이라는 견해가 가장 일반적이다.

 

 

  1. 기록 목적

① 신앙의 강화를 위해

데오빌로로 대표되는 수신자들에게 유대인들의 박해와 로마의 압제에 있는 그리스도인들에게 기독교 신앙에 대한 확신을 주기 위함이다.

② 성령의 능력으로 복음이 땅끝까지 전파됨을 밝히기 위해

성령의 능력으로 복음이 전파되고 교회가 세워지며 신자와 교회의 풍성한 복과 성장이 이뤄진다는 사실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예수님의 행적을 적은 누가복음(행 1:1)을 쓴 누가는 예수님이 부활 승천하신 후에도 그분이 보내신 성령을 받은 제자들을 통해 계속적으로 행하시는 사역을 역사적으로 기록하기를 원하였다.

③ 복음의 변증과 확증을 위해

복음이 로마 세계에 전파되면서 기독교가 로마의 법과 질서에 위협을 주는 불법적인 종교가 아님을 변증하며, 기독교가 구약에 뿌리를 둔 유대교의 정통성을 이어받은 종교라는 것을 밝혀준다.

④ 복음의 보편성을 증거하기 위해

복음이 유대인과 동일하게 이방인을 위한 것임을 보여 주기 위한 것이다. 특히 구약의 예언 성취(눅 24:47; 행 15:15-18)를 따라 유대인과 이방인이 함께 믿음으로 하나님의 교회를 이루는 모습을 전하기 위한 것이다.

⑤ 지금까지도 역사하시는 성령님의 사역을 보여주기 위해

역사 속에 끊임없이 개입하사 이 땅 위에 교회를 세우시고 지금까지도 역사하시는 성령님의 강력한 역사를 생생하게 보여주기 위함이다.

 

 

  1. 사도행전의 주제

1) 그리스도의 부활

① 사도행전은 예수님이 전하신 하나님 나라의 복음이(눅 16:16) 성령님의 주도하에 부활을 확신하고 경험한 제자들을 통해 예루살렘과 유대와 사마리아와 땅끝(로마)까지 이르는 역동적 과정에 대한 기술이다.

② 부활하신 예수님이 하나님 나라의 일을 40일간 직접 설명(1:3)

③ 부활을 경험한 초대교회의 모습의 기술(2:42-47, 4:32-39)

④ 가운데도 담대히 증거하는 베드로와 사도들의 부활신앙(4:1-31, 5:17-42, 7:1-60, 9:1-31, 13:13-41, 17:22-32)

 

2) 성령님의 사역

① 예수님의 공생애가 성령으로 시작된 것과 같이 교회의 공적 사역도 성령으로 시작, 성령 세례(1:4-5), 성령의 능력(권능) 힘입어 내 증인될 것(1:8), 성령 강림 및 충만(2:1-4)임을 강조함

② 오순절 성령강림사건(2:1-13)은 부활하시고 승천하신 예수님이 사역하신 결과(눅 24:49, 행 1:4-5)

③ 성령은 증인들을 성령충만케 하고 증언사역을 적극적으로 주도 – 성령행전(2:4, 4:8,31, 6:3,5,10, 7:55, 8:17,29,39, 9:17, 10:19, 11:24,28, 13:2,4,9,52, 16:6-7, 20:22-23, 21:4)

④ 제자들이 하나님 나라의 경계를 수용하게 하는 확실한 증거로 작용(8:14-17, 10:44,47, 11:15-18, 15:8-9)

 

3) 제도적 교회의 성립

① 부활을 경험한 제자들이 모여 교회 형성(1:12-15) - 부활의 증인 공동체, 기도 공동체

② 사도의 보선으로 12사도를 채움(1:15b-26) ,

③ 초대교회 성도들의 모습(2:42-47, 4:32-5:11) : 사도(지도자)의 가르침, 교제, 떡, 기도, 모든 물건 서로 통용, 재산과 소유를 팔아 나눠줌, 말씀사역자인 사도들 외 재정 관리자들(집사) 7명 뽑음(6:1-7).

④ 박해를 통해 교회가 확장됨. 경계와 차별을 넘어 확장되는 교회 – 하나된 공동체 - 빌립의 사마리아 전도(8장), 베드로의 백부장 고넬료 전도(10장, 11장), 안디옥에서 헬라인 전도(11장)-안디옥 교회, 바울의 아시아와 유럽 선교(13~28장)

⑤ 각 교회에 장로들을 세워 교회를 맡김(14:23)

⑥ 사도들과 장로들이 예루살렘 교회와 이방인 교회까지 다스림(15장) - 할례문제

 

 

  1. 사도행전의 특징

① 신약성경 중 유일하게 역사서로 분류된다. 그래서 사도행전은 예루살렘, 유다, 사마리아, 로마 등으로 퍼져나가는 초대교회사를 기록하였다(행 1:8).

② 성령의 역사를 기록한 책이다. 오순절의 성령 강림에서 시작하여(행 2장) 사도행전 곳곳에 성령이 역사하는 사건들이 생생하게 기록되어 있다(행 4:23-31; 5:1-11; 8:14-17, 29; 10:44-48; 13:1-4; 15:28; 16:6-7; 19:1-6; 20:22-23, 28; 21:11).

③ 사도 바울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 주고 있다. 사도행전은 바울의 회심에서부터 3차에 걸친 전도 여행에 대한 기록, 예루살렘에서의 체포 때부터 로마에 이르는 기간 동안의 기록들, 바울의 예루살렘 방문 등 바울에 대한 여러 자료들을 제공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울 서신의 배경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④ 여러 사람의 설교 내용이 많이 나온다. 베드로(행 1:16-22; 2:14-36; 3:11-26 ; 4:8-12; 5:29-32; 8:20-25; 10:34-43; 11:5-17; 15:7-11), 스데반(행 7:2-53), 바울(행 13:16-41; 14:15-17; 17:22-31; 20:18-35; 22:1-21), 야고보(행 15:15-21)의 설교 등 여러 편의 설교가 실려 있다. *이러한 설교들은 모두 교회를 통해서 구약의 예언이 성취되었음을 크게 강조하고 있다.

 

 

  1. 누가복음과의 연속성

① 누가복음의 맨 마지막 장면을 사도행전의 첫 부분에서 재차 진술함으로 연속성을 부각시킨다.

누가복음에 나오는 예언이 사도행전에서 성취되면서 서로 연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③ 사도행전에 나타난 ‘하나님 나라’ 용어는 누가복음에서 예수님이 선포한 ‘하나님 나라’를 반향(反響) 한다.

④ 누가복음에서 예수님은 성령을 받는 분으로 묘사되지만 사도행전에서는 성령을 주시는 분으로 나타난다(눅 3:21-22, 행 2:33).

⑤ 누가복음은 갈릴리에서 예루살렘으로, 사도행전은 예루살렘에서 지중해를 거쳐 로마로 복음이 전파되는 이야기를 이어서 전개하고 있다.

 

 

  1. 내용과 구조

1) 예루살렘에 있는 증인(1:1-8:4)

① 교회의 능력(1:1-2:47)

② 교회의 성장(3:1-8:4)

 

2) 유대와 사마리아에 있는 증인(8:5-12:25)

① 빌립의 증거(8:5-40)

② 사울의 회심(9:1-31)

③ 베드로의 증거(9:32-11:18)

④ 초대교회의 증거(11:19-12:25)

 

3) 땅 끝까지의 증인(13:1-28:31)

① 1차 전도여행(13:1-14:28)

② 예루살렘 공회(15:1-35)

③ 2차 전도여행(15:36-18:22)

④ 3차 전도여행(18:23-21:16)

⑤ 로마여행(21:17-2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