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의 분석 자료 1. 영광, 2. 선, 3. 악


영광(榮光) : 빛나고 아름다운 영예

- 영화 영(榮), 빛 광(光)

 불 화(火), 덮을 멱(冖), 나무 목(木) - 열 십(十) + 사람 인(人)

* 사람이 어렵고 힘든 십자가를 감당한 후에 자기가 한 것을 감추고 덮을 때(자랑하지 않을 때)
  불이 타오른다.

빛 광(光)

  작을 소(⺌)  + 우뚝할 올(兀)
  光자는 ‘빛’이나 ‘빛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光자는 儿(어진사람 인)자와 火(불 화)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光자는 사람의 머리 위에 빛이 나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갑골문에 나온 光자를 보면 儿자 위로 火(불 화)자가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사람 주위가 매우 밝게 빛나고 있음을 표현한 것이다.
  그래서 光자는 ‘빛’이나 ‘비추다’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 honor, glory

고린도전서 15:41
해의 영광도 다르며 달의 영광도 다르며 별의 영광도 다른데 별과 별의 영광이 다르도다.

요한복음 12:43
저희는 사람의 영광을 하나님의 영광보다 더 사랑하였더라.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선(善) : 착하다, 어질다

  입 구(口)  +  양 양(羊) + 초두머리 초(䒑)

善자는 ‘착하다’나 ‘사이좋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갑골문에 나온 善자를 보면 양과 눈이 함께 그려져 있었다.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답은 ‘양의 눈망울과 같은’이다.
뜻이 좀 이상하긴 하지만 우리식으로는 ‘사슴 같은 눈망울’로 해석될 수 있겠다.
보통 착하고 선한 사람을 일컬어 사슴 같은 눈망울을 가졌다고 말하곤 한다.
善자는 그러한 뜻을 표현한 것이다.
금문에서는 目자 대신 言(말씀 언)자가 쓰이게 되었는데, 이것은 정감 있는 대화를 나눈다는 의미였다.
이후 善자는 변화를 거듭해 지금의 모습에 이르게 되었다.

1. 올바르고 착하여 도덕적(道德的) 기준(基準)에 맞음. 또는 그런 것.
2. 도덕적(道德的) 생활(生活)의 최고(最高) 이상(理想).

양(羊)처럼 순하고 온순하며 부드럽게 말(口)하는 사람을 나타내어 「착하다」를 뜻함.
옛날 재판에는 양 비슷한 신성한 짐승을 썼음.
신에게 맹세(盟誓)하고 한 재판이란데서 나중에 훌륭한 말 → 훌륭함 → 좋다의 뜻이 되었음.

로마서 9:28
우리가 알거니와 하나님을 사랑하는 자 곧 그 뜻대로 부르심을 입은 자들에게는 모든 것이 합력하여 선을 이루느니라.

선이란 양처럼 말하는 것을 의미한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악(惡) :

 악할 악(惡), 미워할 오(惡)

惡자는 ‘미워하다’나 ‘악하다’, ‘나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惡자는 ‘악하다’라고 할 때는 ‘악’이라고 하지만 ‘미워하다’라고 말할 때는 ‘오’라고 발음을 한다.
惡자는 亞(버금 아)자와 心(마음 심)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亞자는 사면이 요새처럼 지어진 집을 그린 것이다.
惡자는 이렇게 사방이 꽉 막힌 집을 그린 亞자에 心자를 결합한 것으로 ‘갇혀있는 마음’이라는 의미에서 ‘악하다’를 뜻하게 되었다.




뜻을 나타내는 마음심(心(=忄, 㣺) ☞ 마음, 심장)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亞(아→악)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亞(아→악)은 고대(古代) 중국(中國)의 집의 토대나 무덤을 위에서 본 모양, 나중에 곱사등이의 모양으로 잘 못보아 보기 흉하다→나쁘다의 뜻에 씀.